DDmodel1 은행 제도의 역할 : Diamond-Dybvig model (1) 0. 세 문장 요약 : - 은행의 존재가 주어진 생산능력 하에서 효율적 자원 배분을 달성하여 사회 후생을 증대시킨다. - 단, 은행 공황(a.k.a bank run)이 발생하면 실물경제까지 충격이 파급될 경우 은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(Financial Autarky)보다 더 낮은 효용을 누리게 될 가능성도 존재한다. - 은행의 안정성을 담보하기 위한 예금보험제도(우리나라의 경우 예금자보호법)는 뱅크런이 발생했을 때 은행에 달려갔을 때 얻을 수 있는 금액과 달려가지 않았을 때의 금액을 동등하게 만들어주어 은행에 실제로 달려가지 않도록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. 1. 은행의 기능 (1) 만기 변환(maturity tranformation) (2) 유동성 변환(liquidity tranformation) * .. 2020. 12. 30. 이전 1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