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타6 목록 🦎 윤택 교수님 - 거시경제학 : 뉴케인지언모형과 자연율경제 🦎 이종화, 김진일 교수님 - 동태적 거시경제학 : 성장과 변동 🦎 A. Chiang - Elements of Dynamic Optimization (1999) 근데 진짜,,, 일년동안 현대거시 공부하면서 원서밖에 자료가 없는게 너무 힘들었는데 한국어로 교재 출판해주셔서 타학교 학생임에도 너무 감사할따름 ㅠㅠ 2021. 11. 14. 경제 논술 개요 : 가계부채 3. 국내 가계부채의 문제점 A. 양적인 문제 i. 2021년 3월 말 가계부채 1700조 초과 1. 자산가격 급등, 생활안정 자금 수요 증대로 인해 지속 상승 ii. 가계 소득증가율 대비 높은 부채증가율 1. 가계신용 증가율 : 평균 5% 2. 글로벌금융위기 이후 평균 증가 속도는 OECD 평균의 8배 iii.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00% 육박 iv.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는 190% 수준, 200% 근접 B. 질적인 문제 i. 변동금리 vs. 고정금리 1. 변동금리 비중이 높으면 고정금리에 비해 리스크가 더 높음 2. 고정금리 비중은 2019년 49.4% ii. 일시상환 vs. 분할상환 1. 일시상환의 비중이 높으면 만기 시까지 부채의 원금이 줄지 않아 분할상환에 비해 리스크 높음 2. 2.. 2021. 8. 27. 3월 마지막 주 시사 정리 1. 법정 최고 금리 인하 - 3월 30일 대부업법·이자제한법 시행령 개정령안 통과 - 2021년 7월 7일부터 법정 최고 금리 24% -> 20%로 인하됨 - '3년전 27.9%이었던 법정 최고 금리를 2018년 2월 8일부터 24%로 내린 뒤 저신용자 10명 중 2명이 약탈적 사채시장으로 내몰린' 부작용 발생 - "법정 최고금리가 20%로 줄어들면 20% 초과 금리 대출을 이용하던 239만 명 중 약 87%인 208만 명의 이자 부담이 매년 4,830억 원 정도 줄어들 것으로 예상"한다지만, 24%로 내렸을 때 발생했던 부작용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게 될 수 있음 2. 산유국 감산 연장 - OPEC+(OPEC 13개국 + 러시아 등 10개 산유국 연합체)은 4월 1일 산유량 조정회의에 앞서 올해 세계 원.. 2021. 4. 4. 20201217 :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1. 지속적인 디커플링 현상에 관한 한은의 견해 세계 중앙은행이 장기간 금리를 낮게 유지하면서 실물과 자산가격간 괴리가 확대 되는 중 (디커플링현상) 자산가격이 높아져도 과거와 같은 부의 효과는 제한적인 반면, 자산불평등 확대와 금융불균형 누증 등 부작용이 초래되는 중 참고 1 : 2020 6월 한국은행 연구 : 자산효과의 비대칭성 - 자산 가격이 올랐을 때 소비를 증진시키는 효과는 미미하나, 자산 가격이 내렸을 때 가계의 소비를 위축시키는 정도는 증대 효과에 비해 큰 것으로 분석됨. 자산 효과가 통화정책의 효과처럼 비대칭적으로 나타남을 보여줬음) 참고 :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BOK 경제연구 : [제2020-11호] House Prices and Household Consumption in Korea 참.. 2020. 12. 17. 이전 1 2 다음